홍승봉 교수, 6일 국감 참고인 출석...국내 뇌전증 치료 실태 증언
"뇌전증 수술 가능 병원 전국 6곳 뿐...인력·시설·장비 모두 부족"
홍승봉 성균관의대 신경과 교수는 10월 6일 국정감사 참고인으로 출석해 국내 뇌전증 진료 현황을 알리고, 국가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의협신문
"연 27억원의 예산이면 36만 뇌전증 환자의 가정과 생명에 희망의 등불을 켤 수 있다. 국회와 정부의 관심을 부탁드린다."
홍승봉 성균관의대 교수(삼성서울병원 신경과)가 10월 6일 국정감사 참고인으로 출석해 국내 뇌전증 진료 현황을 알리고, 국가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 교수는 뇌전증 권위자로 대한뇌전증학회장 및 대한신경과학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과거 간질로 불리던 뇌전증은 대표적인 신경계 질환으로 국내 환자 수는 36만명 정도로 추정된다. 갑작스런 발작이 전형적인 특징인데, 언제 어디서 발작이 발생할지 예측할 수 없어 늘상 사고의 위험성을 안고 살아야 한다.
홍 교수에 따르면 뇌전증 환자의 사망률은 정상인의 10배에 이르며 20∼30대 젊은 환자의 경우 그 비율이 27배, 약물치료로 조절이 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 그 비율이 47배로 높아진다. 난치성 뇌전증의 유일한 치료법은 뇌전증 수술로, 뇌전증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는 돌연사 위험이 1/3 수준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국내에서 뇌전증 수술을 할 수 있는 병원은 6곳에 불과하다. 미국 260곳, 일본 50곳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숫자다. 그나마 6곳 중 2곳은 경영난으로 폐업 위기에 처해있다.
홍 교수는 "수술 병원이 많지 않다보니 뇌전증 환자의 대부분은 수술 치료가 있는 줄도 모르는 실정"이라며 "그나마 문을 연 병원도 서울과 부산 뿐이라 그 외 지역에서는 접근조차 쉽지 않아 일부는 중국과 대만 등 원정수술에 나서기도 한다"고 밝혔다.
"전체 뇌전증 환자의 30%에 해당하는 12만명은 약물치료로 조절이 안돼 수술을 고려해야 하는 환자이며, 특히 긴급한 수술이 필요한 환자는 2만명 정도로 추산된다"고 밝힌 홍 교수는 "국내 뇌전증 수술 건수는 연간 100건에 불과하다"고 실태를 전했다.
국내에서 뇌전증 수술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로는 인력 및 지원 부족을 들었다.
홍 교수는 "검사와 수술이 어렵고 인력과 장비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수술 전 검사를 담당하는 신경과 전공의 부족은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하면서 "인구구조의 변화에도 전공의 정원은 20년째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다. 인구구조와 의료수요에 맞춰 전공의 정원 재분배를 시행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아울러 국내 의료수요를 감안할 때 전국에 적어도 10곳 정도의 뇌전증 수술병원이 안정되게 운영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며 ▲수술 로봇 도입 비용 국가 지원 ▲수술병원 운영비 국가 지원 ▲뇌전증지원센터 예산확충 ▲뇌전증 사회사업 시행 등을 부탁했다.
홍 교수는 "이들 모두를 시행하는데 연간 27억원 정도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며 치매예산의 100분의 1정도만 투입하면 36만 뇌전증 환자의 가정과 생명에 희망의 등불을 켤 수 있다. 국회와 정부의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을 맺었다.